모건스탠리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한국인의 명품 소비 지출은 약 20조 9000억 원(168억 달러)으로 추정된다. 전년보다 24% 증가한 수치다.
이는 1인당 지출 금액이 약 40만 2000원(325달러)으로 세계에서 가장 많다. 미국은 1인당 34만 6000원(280달러), 중국은 1인당 6만 8000원(55달러)이었다. 미국 CNBC가 투자은행 모건스탠리의 분석을 인용해 보도한 내용이다.
몽클레르는 지난 2분기 한국 매출이 코로나19 대유행 이전보다 두 배 이상 늘었다고 밝혔다. 까르띠에 소유주인 리치먼드 그룹도 지난해 한국이 1~2년 전에 비해 두 자릿수 성장한 지역 중 한 곳이라고 말했다. 프라다는 중국의 봉쇄정책 때문에 지난해 매출이 7% 줄었지만 한국과 동남아시아에서의 실적 덕분에 하락세가 완화됐다고 밝혔다.
모건스탠리는 한국 구매자들의 명품 수요는 구매력과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려는 욕구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명품 브랜드들이 사람들의 명품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유명인사들을 활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CNBC는 “펜디는 배우 이민호, 샤넬은 가수 지드래곤, 디올은 가수 블랙핑크 등 한국의 유명인사들은 거의 명품 브랜드의 홍보대사”라고 밝혔다.
구성✍️: 황보경
그래픽🎨: 김혜린
등록: 2023.01.17 10:20